반응형
'가벼운 접촉사고'가 가져오는 무거운 청구서
“감지도 못할 충격이었는데, 병원 입원과 고가 수리비가 날아왔습니다.”
“나중에 보니 병원, 정비소, 보험까지 연결된 구조였습니다.”
최근 몇 년 사이, 경미한 자동차 접촉사고를 악용한 보험금 과잉청구 피해가 전국적으로 퍼지고 있습니다.
단순한 교통문제를 넘어, 의료사기, 보험사기, 제도 악용으로 이어지는 구조적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부딪혔는지도 몰랐는데, 입원과 보상 요구
'전국 피해 사례 요약: '그저 스친 정도였는데...'
서울 성동구 – 지하주차장 후진 중 경미 접촉
- 블랙박스 영상엔 “턱” 소리조차 없음
- 상대방, 4일 뒤 병원 입원 후 전치 2주 진단서 제출
- 보험사에 비급여 포함 치료비 85만 원 청구
- 병원은 물리치료 4일, 약 처방 7일 진행
부산 해운대 – 신호대기 중 접촉
- 차량이 정차 중 천천히 밀림
- 상대 차량 외관상 흠집 거의 없음
- 그러나 상대는 “정신적 충격과 불면증” 주장
- 합의금 100만 원 요구 후 민사소송 예고
광주 북구 – 도색된 부분 스크래치
- 범퍼 모서리 약간 긁힘
- 정비소 방문 후 범퍼 전체 + 도색 포함 280만 원 청구
- 알고 보니 정비소 사장과 피해자 지인
대전 중구 – 이중 사고로 둔갑
- 접촉사고 이후 정리 중 상대방 차주가 추가 접촉 주장
- 경찰 출동 전 병원으로 이동, 후에 진단서 제출
- 사기 혐의로 고소 진행 중이나 소송 장기화
이 사례들이 모두 공통적으로 보여주는 점
- 실제 충격은 경미하지만,
→ 의도적 입원, 전체 교체 요구, 정비소 과잉 견적 등 과잉청구로 확대됨 - 피해자 대부분이 "그냥 보험처리 하자"는 착한 태도에서 출발
→ 오히려 상대에게 기회를 주는 꼴이 됨 - 보험사는 처리하지만, 실질적으로 제재하거나 막을 장치는 없음
왜 이런 일이 반복되는가?
- 경미사고에 대한 법적 정의가 없음
- 충격 강도, 수리 기준, 진단 기준이 모호함
- 정보 비대칭과 공유 부족
- 병원, 정비소, 보험사 간 실시간 연계 시스템 부재
- 개인정보보호법으로 실질적 공조도 어렵다
- 과잉청구에 대한 실질 처벌 미비
- 병원도, 정비소도, 가해자도 ‘관행’처럼 넘어가는 구조
- 민사소송을 피하고자 대부분 보험사에서 처리
이제는 전국민이 관심 가져야 할 문제입니다
이 문제는 단지 운이 나쁜 한 사람의 불운이 아닙니다.
2,600만 대가 넘는 등록 차량을 보유한 한국,
언제든 누구든 이 구조의 피해자가 될 수 있습니다.
- 보험료는 매년 오르고,
- 정직한 운전자일수록 불이익을 당하며,
- 사기는 제도 허점을 타고 더 교묘해지고 있습니다.
해결을 위한 국민 목소리가 필요합니다
- ‘경미사고 기준법’ 제정 필요
- 사고 충격량, 진단 기준, 수리 범위 명확화
- 정보 공유 시스템 구축(AI-SAFE)
- 병원-정비소-보험사 실시간 연동 시스템 마련
- 사기 적발 및 행정처분 강화
- 과잉청구 고의 시 벌금 및 면허 제한 등 조치 필요
- 전국 피해사례 수집 및 공개 캠페인 전개
- 시민들이 직접 사례를 올리고, 공론화하는 플랫폼 구축 필요
“더 이상은 침묵할 수 없습니다”
- 당신이 “그냥 보험처리 하자”고 한 순간,
- 누군가는 그걸 현금화 기회로 만들고 있습니다.
이제는 억울함을 넘어서, 바꿔야 할 때입니다.
여러분의 관심, 제도 개선의 출발점이 됩니다.
반응형
'사회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법 배기통 소음, 이대로 괜찮을까요?- 우리 동네를 시끄럽게 하는 차량 소음, 처벌과 해결 방법은? (0) | 2025.04.05 |
---|---|
[국민청원]– 경미사고 과잉청구 방지법 제정을 촉구합니다 (0) | 2025.04.04 |
범퍼 교체에 300만 원?(2부) (0) | 2025.04.02 |
가벼운 사고에도 병원 입원(1부) (0) | 2025.04.01 |
“작은 사고, 큰 청구”…이젠 막아야 할 때입니다 – ‘경미사고 과잉청구 방지법’ 입법 제안 (1) | 2025.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