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전세사기는 임대인이 세입자의 전세보증금을 돌려줄 의사나 능력 없이 계약을 체결하는 범죄입니다. 최근 급증하는 전세사기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주요 유형과 대처법을 알아봅시다.
주요 전세사기 유형 4가지
1. 가짜 집주인 사기
수법: 실제 소유자를 사칭해 계약 체결 후 보증금 가로채기
예방법:
• 등기부등본 확인
• 집주인 신분증 대조
• 등기소 방문 시 집주인 동행
2. 깡통전세 사기
수법: 집 가격보다 높은 전세금 요구 후 보증금 미반환
예방법:
• 등기부등본 근저당 확인
• 실거래가 대비 적정 전세가 판단
• 전세보증금반환보증보험 가입
3. 다중 전세 사기
수법: 한 주택에 여러 세입자와 계약 후 보증금 가로채기
예방법:
• 현 거주 세입자 확인
• 확정일자 부여 시 기존 계약 확인
• 주민등록전입세대열람
4. 전세금 돌려막기 사기
수법: 새 세입자 보증금으로 기존 세입자 보증금 반환 반복
예방법:
• 집주인 재무상태/신용도 확인
• 시세보다 낮은 전세금 주의
• 잦은 세입자 변경 이력 확인
5. 전세사기 예방 체크리스트 10가지
□ 등기부등본 확인
□ 집주인 신원 확인
□ 확정일자 받기
□ 전입신고 하기
□ 임대차계약서 작성
□ 주변 시세 조사
□ 공인중개사 활용
□ 전세보증금반환보증보험 가입 검토
□ 근저당권 설정 여부 확인
□ 집주인 재무상태 점검
6. 전세사기 피해 시 대응 방법
즉시 경찰 신고
법률 전문가 상담 (대한법률구조공단, 한국소비자원 등)
가압류 신청 고려
주택임대차보호법에 따른 대항력 및 우선변제권 행사
전세보증금반환소송 제기
마무리
전세사기 예방의 핵심은 철저한 사전 확인입니다. 이 글에서 소개한 유형별 대처법과 체크리스트를 활용해 안전한 전세 계약을 체결하세요. 조금만 더 꼼꼼히 확인한다면 소중한 보증금을 지킬 수 있습니다.
'생활 법률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파트 구매 시 꼭 확인해야 할 12가지 핵심 체크리스트 (3) | 2024.09.28 |
---|---|
우리 집이 수용된다고? - 토지 수용과 보상금 분쟁 알아보기 (1) | 2024.09.27 |
임대아파트 계약 해지의 숨겨진 진실 - 법과 판례로 알아보는 해지 사유와 주의점 (0) | 2024.09.25 |
임대아파트 분양계약 거부,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0) | 2024.09.25 |
임대아파트 분양전환 자격 논란, 어떻게 해결할까? (0) | 2024.09.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