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 법률 이야기

부동산 거래 사기 유형과 피해자 구제방안

by 로나리 2025. 6. 22.
반응형

 

부동산 거래에서 조심해야 할 사기 유형과 피해 시 대처 방법, 법적 구제책까지 정리해드립니다. 실제 판례를 바탕으로 안전한 거래 팁도 함께 제공합니다.

1. 부동산 거래 사기의 주요 유형

  • 가짜 중개인 사기
    공인중개사 자격이 없는 사람이 중개를 가장해 계약금을 편취하는 수법입니다. 사무실이나 명함까지 그럴듯하게 꾸며 피해자를 속이기도 하니, 공인중개사 자격 여부는 반드시 정부 공공 포털에서 확인해야 합니다.
  • 이중계약 사기
    같은 부동산을 여러 사람에게 매도하는 수법으로, 보통 계약금이나 중도금을 노립니다. 중도금 이후 매도인이 이중계약을 할 경우 형법상 배임죄로 처벌될 수 있습니다.
  • 허위 광고 사기
    실제 매물과 다른 정보(면적, 가격, 위치 등)를 인터넷에 올려 계약을 유도하는 사례입니다. 이는 공인중개사법상 허위 광고로 제재 대상이 됩니다.
  • 계약금 편취형 사기
    매수 의사 없이 계약금만 받고 사라지는 경우로, 형법상 사기죄가 성립됩니다.
  • 깡통전세 등 동시진행 사기
    매매와 전세가 동시에 이뤄지는 과정에서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하는 피해가 잦습니다. 매매 과정에서 임대차 정보 미고지 시 형사 책임도 가능합니다.

 

2. 피해자 구제방안은?

  • 민사적 구제
    • 사기 계약 취소 및 손해배상: 민법상 사기 계약은 취소할 수 있고 손해배상도 청구 가능합니다.
    • 공인중개사에 대한 손해배상 청구: 중개업자의 과실로 피해를 입은 경우, 보증보험 등을 통해 배상 청구할 수 있습니다.
    • 이중등기 말소 소송: 진정한 소유자는 법원에 등기 말소 청구가 가능합니다.
  • 형사적 구제
    • 사기죄/배임죄로 고소 가능: 고의적인 기망이나 이중계약 행위는 형사 고소로 대응할 수 있습니다.
    • 공인중개사법 위반 고발: 무자격 중개, 허위광고 등은 공인중개사법 위반으로 처벌됩니다.

3. 안전한 부동산 거래를 위한 팁

  • 공인중개사 자격번호 직접 조회
  • 등기부등본 확인 (소유자·근저당 여부 등)
  • 계약금은 반드시 명의확인 후 계좌송금
  • 계약서 내용 꼼꼼히 검토 (중개대상물확인서 포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