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 법률 이야기

보이스 피싱 피해를 당했을 때 법적 대응 절차 알아보기

by 로나리 2024. 9. 18.
반응형

보이스 피싱은 전화나 메시지를 통해 개인의 금융 정보를 불법적으로 취득하여 금전적 피해를 입히는 사기 유형 중 하나입니다. 가장 흔한 유형으로는 정부 기관이나 금융 기관을 사칭하여 피해자의 개인정보나 계좌 정보를 요구하는 방식입니다. 이밖에도 검찰, 경찰 등을 사칭하여 체납 세금, 대출 상환 등을 핑계로 돈을 요구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보이스 피싱 유형

  1. 정부 기관 사칭 : 검찰, 경찰, 금융감독원 등 공공기관을 사칭하여 범죄에 연루되었다며 피해자에게 돈을 송금하라고 요구하는 경우입니다.
  2. 금융 기관 사칭: 은행이나 카드사를 사칭하여 계좌 이상 징후가 발견되었다고 하거나 대출 상품을 안내하는 방식으로 접근합니다.
  3. 지인 사칭: 가까운 친구나 가족을 사칭해 급박한 상황이라며 돈을 빌려달라고 요구하는 경우입니다.

보이스 피싱 피해를 당했을 때 법적 대응 방법

보이스 피싱 사기를 당했다면 즉시 적절한 법적 대응을 통하여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1. 금융기관에 즉시 신고: 돈이 송금되었다면 빠르게 해당 금융기관에 신고하여 계좌 지급 정지를 요청해야 합니다. 금융감독원 ‘보이스 피싱 신고센터(1332)’에 신고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2. 경찰 신고: 보이스 피싱 사기는 형사 사건에 해당하므로 즉시 가까운 경찰서에 신고하고, 범죄 피해자 지원 절차를 밟아야 합니다. 경찰은 관련 증거를 수집하고 수사를 진행합니다.
  3. 법적 소송: 피해액이 크거나 사기범을 특정할 수 있는 경우, 법적 소송을 제기하여 손해배상 청구가 가능합니다. 민사상 손해배상 청구는 사기범을 대상으로 직접 제기할 수 있고, 만약 금융기관의 부주의로 계좌 지급 정지 요청이 지연된 경우, 금융기관에 대해 손해배상 청구도 가능합니다.

피해자의 권리 보호

보이스 피싱 피해자는 관련 법률에 의하여 여러 가지 권리를 보호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전자금융거래법」에 따르면 금융기관은 고객의 요청 시 보이스 피싱으로 인한 송금 계좌의 지급 정지를 신속히 처리해야 하며, 해당 범죄에 연루된 계좌의 주인이 특정되면 계좌 사용이 제한됩니다.

관련 판례

실제로 대법원에서는 보이스 피싱 범죄와 관련하여 피해자의 신고가 빠르게 이루어진 경우, 금융기관이 지급 정지 요청을 수락하지 않아 발생한 피해에 대해 금융기관이 손해배상 책임을 진 사례가 있습니다. 이것은 금융기관이 고객의 보호 의무를 다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되었기 때문입니다.

 

보이스 피싱 피해는 사전 예방이 중요하며, 피해 발생 시 빠르게 대응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법적 절차와 함께 경찰, 금융기관, 법률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피해 회복을 최대화하는 것이 필수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