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 법률 이야기

기간제와 계약직 근로자의 퇴직금 산정: 사례로 알아보는 퇴직금 계산법

by 로나리 2024. 9. 18.
반응형

퇴직금 계산에 대한 글을 작성할 때, 기간제 근로자와 계약직 근로자의 퇴직금 산정 방식은 일반 정규직 근로자와 유사하지만, 계약 기간과 근로 형태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다음은 기간제 또는 계약직 근로자의 퇴직금 산정 방식과 실제 사례를 설명드리겠습니다.

퇴직금 산정 방식

퇴직금은 근로자가 퇴직할 때 지급되는 금액으로,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에 따라 퇴직 직전 3개월의 평균 임금을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이를 위해 기본적으로 1년 이상 근무한 경우에만 퇴직금을 받을 수 있으며, 1년 미만의 근무기간은 퇴직금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퇴직금 계산 공식:

 
퇴직금 = [(1일 평균임금) x 30일] x (근속연수/1)

 

기간제 근로자와 계약직 근로자도 1년 이상 근속했을 경우, 퇴직금 계산 방식은 동일합니다. 다만, 계약이 반복적으로 갱신된 경우나 근로 기간이 단기적일 경우, 이에 대한 규정이 다를 수 있습니다.

실제 사례

사례 1: 1년 이상 근무한 기간제 근로자

 

A씨는 1년 동안 한 회사에서 기간제 근로자로 근무했으며, 월평균 임금이 200만 원입니다. A씨는 계약 종료 후 퇴직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퇴직금 계산:

  • 1일 평균 임금: 200만 원 ÷ 30일 = 66,667원
  • 근속연수: 1년
  • 퇴직금 = 66,667원 x 30일 = 2,000,010원

사례 2: 2년간 계약직 근로자로 일한 B씨

 

B씨는 계약직 근로자로 2년간 근무했으며, 월평균 임금은 250만 원입니다. B씨는 계약 만료 후 2년간 근무한 것에 대한 퇴직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퇴직금 계산:

  • 1일 평균 임금: 250만 원 ÷ 30일 = 83,333원
  • 근속연수: 2년
  • 퇴직금 = 83,333원 x 30일 x 2년 = 4,999,980원

기간제와 계약직 근로자의 퇴직금 차이 비교표 

        근로 형태   근속 연수 월 평균 임금 1일 평균 임금 퇴직금
기간제(A씨) 1년 200만원 66,667원 2,000,010원
계약직(B씨) 2년 250만원 83,333원 4,999,980원

 

이 [표]를 통해 근로 형태에 상관없이 근속 연수와 임금에 따라 퇴직금이 산정되며, 계약이 종료될 때 퇴직금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