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최저임금 꼭 챙기세요!
알바생도 최저임금법의 보호 아래 있습니다. 2024년 기준 최저임금은 시간당 9,860원입니다. 이보다 적은 임금을 받고 있다면, 고용주는 법을 어기고 있는 것입니다. 최저임금은 법적으로 보장된 권리입니다.
주휴수당 받는 조건?
주 15시간 이상 일하면 주휴수당을 받을 자격이 있습니다. 다시 말해 일주일에 3일, 하루 5시간씩 일한다면 하루치 임금을 추가로 받을 수 있습니다. "주휴수당"은 알바생이 꼭 챙겨야 할 중요한 혜택입니다.
연장근로와 야간근로 수당
- 연장근로: 하루 8시간, 주 40시간을 넘기면, 초과한 시간에 대해서는 1.5배 수당을 받습니다.
- 야간근로: 밤 10시부터 새벽 6시까지 일하면, 1.5배의 수당을 받습니다.
부당하게 적은 수당을 받지 않도록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부당 해고, 어떻게 대처할까?
갑자기 해고 통보를 받으셨나요? 30일 전에 서면으로 해고 통지를 받지 않았다면, 30일치 임금을 받을 권리가 있습니다. 부당 해고라면 고용노동부에 도움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근로계약서 작성은 필수!
근로계약서 없이 일하고 있는 것은 매우 위험한 상황입니다. 근로계약서에는 근무 시간, 임금, 업무 내용이 명확히 적혀 있어야 합니다. 근로계약서 없이 일하는 것은 나중에 분쟁이 생길 때 불리할 수 있으니 꼭 작성하세요!
임금 체불, 이렇게 해결하세요
임금을 받지 못했다면 고용노동부에 임금 체불을 신고하세요. 법적으로 고용주는 반드시 임금을 지급해야 하며, 임금 체불은 법적 처벌 대상이 됩니다.
반응형
'생활 법률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 근로기준법 개정으로 시작된 주 4일제! 워라벨 향상 기대되나요? (0) | 2024.09.20 |
---|---|
2024 국회 통과 :개인정보 보호법 개정안:개인정보 관리 강화 (0) | 2024.09.20 |
주거침입죄 성립요건 쉽게 알아보기: 주요 판례 (2) | 2024.09.19 |
"사용하지 않은 연차, 연차수당으로 받는 방법 가이드 (0) | 2024.09.18 |
상속세 신고기한: 사례와 판례로 알아보는 필수 가이드 (0) | 2024.0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