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 법률 이야기

상속세 신고기한: 사례와 판례로 알아보는 필수 가이드

by 로나리 2024. 9. 18.
반응형

사진: Unsplash 의 The New York Public Library

상속세 신고기한

상속세란 상속이 발생한 후 일정 기간 내에 세무서에 신고해야 하는 세금을 말합니다. 상속세법 제67조에 의하면, 상속세 신고는 상속이 개시된 날로부터 6개월 이내에 이루어져야 합니다. 상속이 개시된 날은 보통 피상속인(상속재산을 남겨놓은 사람)이 사망한 날을 뜻합니다. 해외에 거주하는 상속인의 경우에는, 신고기한은 9개월로 연장됩니다.

상속세 신고기한을 넘기면

상속세 신고기한을 넘기면 가산세가 부과됩니다. 대표적으로 신고불성실 가산세납부불성실 가산세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甲이 상속세를 신고하지 않고 기한을 넘겼을 경우, 최대 20%의 가산세를 부과한사례가 있습니다.

상속세 신고 사례 및 판례

  • 사례: 乙은 부모의 사망으로 상속을 받았으나, 상속세 신고를 미루다 7개월이 지나서 신고했습니다. 세무서로부터 신고불성실 가산세를 부과받았고, 이후 세금 납부와 함께 이의 신청을 했으나 법원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 판례: 대법원 2017다230 판결에서는 상속세 신고기한이 지난 후 납부한 상속세에 대해 가산세가 적법하게 부과될 수 있음을 재확인했습니다. 이것은 신고기한 준수가 매우 중요함을 보여주는 대표적 판례입니다.

상속세 신고 시 유의 사항

상속세 신고 시 반드시 상속재산 목록을 정확하게 작성해야 합니다. 소득세법 제59조의2에 따라 공제를 받을 수 있는 항목을 꼼꼼히 확인하는 것도 필수입니다.


5. 맺은 말

상속세 신고기한을 지키지 않으면 가산세 등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므로, 법으로 정한 기한 내에 신고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상속인들은 상속세 신고 절차를 미리 파악해 두고, 필요할 경우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