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 이야기

전공의 파업 속 추석 응급환자 대책 안내

by 로나리 2024. 9. 11.
반응형

전공의 파업 속 추석 응급환자 대책: 정부와 대학종합병원의 준비

전공의 파업으로 인해 대학병원의 의료 서비스가 차질을 빚고 있는 가운데, 추석 연휴 중 응급 상황이 발생했을 때 어떤 대비책이 있는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정부와 대학병원은 이러한 상황 속에서도 응급 의료를 보장하기 위해 다양한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아래에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정부의 응급 대응 계획

  1. 응급의료센터 비상대기: 정부는 모든 대학병원에 응급실을 정상 운영하도록 지시했습니다. 파업 중에도 응급 진료와 같은 필수 의료 서비스는 법적으로 유지되어야 합니다. 대학병원들은 전공의 공백을 메우기 위해 교수진과 전문의를 투입하여 응급실이 원활히 운영되도록 준비하고 있습니다.
  2. 응급환자 이송 체계 강화: 정부는 응급 의료 서비스(EMS)와 병원 간의 협력을 강화하여 응급 환자의 신속한 이송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보건복지부는 지역 응급의료센터를 가동하여 중환자실(ICU) 병상 및 의료 인력의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환자의 이송을 조정하고 있습니다.
  3. 공공병원의 응급 진료 확대: 대학병원의 진료 기능이 감소할 것을 대비하여, 공공병원들이 응급 진료 역량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공공의료기관이 추석 연휴 동안 우선 진료 기관으로 지정되어 운영될 예정입니다.

대학병원의 추석 대비

  1. 교수진과 전문의 진료 강화: 전공의 부재에 따라 교수진과 전문의가 외래 및 응급 환자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일반 진료는 다소 지연될 수 있지만, 중대한 응급 상황에 대해서는 최우선으로 처리할 예정입니다.
  2. 임시 의료 인력 배치: 병원들은 의료 인력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은퇴한 의료 전문가 및 자격 있는 응급구조사 등을 임시로 배치하고 있습니다. 또한, 일부 분야에서는 전공의 대신 인턴들이 교수진의 지도하에 지원하고 있습니다.
  3. 비응급 환자를 위한 원격 의료 서비스: 응급실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대학병원들은 비응급 환자에게 원격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원격 진료를 통해 추석 연휴 기간 동안 병원을 찾는 환자의 수를 줄이고자 합니다.


환자 안전을 위한 주요 정부 및 병원 정책

대책설명

응급실 정상 운영 파업에도 불구하고 모든 주요 병원의 응급실이 정상적으로 운영됩니다.
ICU 병상 실시간 모니터링 중환자실 병상 가용 여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응급환자 수용 가능성 확인
원격 의료 서비스 확대 비응급 상황에서는 원격 진료를 통해 병원 방문을 최소화합니다.
공공병원 응급 진료 강화 응급 상황에 대비해 공공병원들이 추가로 응급 진료를 제공할 예정입니다.

추석 연휴 동안 환자와 가족들이 알아야 할 중요한 사항

  1. 가까운 응급의료센터 확인하기
    정부는 추석 연휴 동안 가까운 공공병원이나 응급 의료시설을 미리 확인할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보건복지부는 이용 가능한 병원의 목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2. 원격 의료 서비스 이용하기
    비응급 상황에서는 병원을 방문하지 않고, 원격 의료 서비스를 활용하여 빠르게 진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3. 보건부 알림 확인하기
    보건복지부는 실시간 병원 운영 상황을 공식 애플리케이션과 웹사이트를 통해 업데이트할 예정입니다. 병원 운영에 변화가 생길 경우 이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정부와 대학병원은 전공의 파업과 추석 연휴 동안에도 필수 의료 서비스가 원활히 제공될 수 있도록 협력하고 있습니다. 응급실이 정상 운영되며, 공공병원의 추가 진료로 응급 상황에 대한 대비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추석 연휴 기간 동안 지역별 응급의료센터 연락처를 표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지역응급의료센터 이름연락처주소

서울특별시 서울대학교병원 02-2072-0505 서울특별시 종로구 대학로 101
부산광역시 부산대학교병원 051-240-7000 부산광역시 서구 구덕로 179
대구광역시 계명대학교 동산병원 053-258-6114 대구광역시 중구 달성로 56
인천광역시 인천적십자병원 032-899-4000 인천광역시 연수구 원인재로 263
광주광역시 전남대학교병원 062-220-5114 광주광역시 동구 제봉로 42
대전광역시 충남대학교병원 042-280-7114 대전광역시 중구 문화로 282
울산광역시 울산대학교병원 052-250-7000 울산광역시 동구 방어진순환도로 877
세종특별자치시 세종충남대학교병원 044-995-3114 세종특별자치시 도담동 1657
경기도 분당서울대학교병원 031-787-2114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로 173
강원도 강릉아산병원 033-610-3114 강원도 강릉시 사천면 방동길 38
충청북도 충북대학교병원 043-269-6114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1순환로 776
충청남도 단국대학교병원 041-550-6114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망향로 201
전라북도 전북대학교병원 063-250-5114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백제대로 567
전라남도 순천향대학교병원 061-379-8000 전라남도 순천시 조례동 백강로 8
경상북도 포항성모병원 054-260-7000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중앙로 181
경상남도 경상대학교병원 055-750-8000 경상남도 진주시 칠암동 90
제주특별자치도 제주대학교병원 064-717-1114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아란길 15

 

★이 표는 추석 연휴 기간 동안 각 지역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응급의료센터의 정보입니다. 필요에 따라 추가적으로 지역별 응급 의료기관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