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서울시는 청년과 신혼부부를 대상으로 저리 대출 지원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 제도는 주거 안정과 금융 부담 경감을 목적으로 하며, 주택 구입, 전세 자금 대출, 월세 지원 등 다양한 형태로 지원됩니다. 아래에서 각 지원 제도와 신청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1. 청년 및 신혼부부 주택구입 자금 대출 지원
- 대상자: 서울시에 거주하거나 서울시로 이주 예정인 만 39세 이하 청년, 만 6년 이하 신혼부부
- 대출 한도: 최대 2억 원
- 대출 금리: 연 1.2%~2.1% (상환 능력 및 대출 금액에 따라 변동)
- 상환 방법: 20년 만기, 5년 거치 후 15년 원리금 분할상환
- 신청 방법: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 홈페이지에서 온라인 신청 가능
- 신청 시기: 연중 수시 (자금 소진 시 조기 마감 가능)
2. 청년 전월세 보증금 지원
- 대상자: 서울시에 거주하는 만 19세~39세 이하 청년 1인 가구
- 대출 한도: 최대 7천만 원
- 대출 금리: 연 1.0%~2.0% (대출 금액에 따라 차등 적용)
- 상환 방법: 최장 10년, 2년마다 재계약 가능
- 신청 방법: SH공사 홈페이지 또는 서울시 청년포털에서 온라인 신청
- 신청 시기: 연중 수시 (자금 소진 시 조기 마감 가능)
3. 신혼부부 전월세 보증금 지원

- 대상자: 결혼 7년 이내 신혼부부로, 서울시에 거주 중이거나 거주 예정
- 대출 한도: 최대 3억 원 (전세 보증금의 70% 이내)
- 대출 금리: 연 1.5%~2.5%
- 상환 방법: 최장 10년, 2년마다 재계약 가능
- 신청 방법: SH공사 또는 서울시 청년주거포털에서 신청
- 신청 시기: 연중 수시 (예산 소진 시 조기 마감)
4. 월세 지원 제도
- 대상자: 서울시에 거주하는 만 19세~39세 이하 청년 및 신혼부부
- 지원 내용: 최대 월 20만 원, 최장 10개월 간 지원
- 신청 방법: 서울시 청년포털에서 온라인 신청
- 신청 시기: 매년 상·하반기 (상반기: 1월/하반기
:12월)
★각 지원 제도의 신청 시기는 예산 및 자금 상황에 따라 조정될 수 있으므로, 서울시 홈페이지나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 홈페이지에서 수시로 공지사항을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
'생활 법률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요금절약을 위한 감면제도를 이용해 보세요 (0) | 2024.08.28 |
---|---|
부산시 청년과 신혼부부 저리 대출 제도 소개 (0) | 2024.08.28 |
가계 대출도 낮은 이자로 대출 받을 수 있는 제도들이 있습니다 (0) | 2024.08.28 |
소상공인이 자금을 지원받을 수 있는 정부의 지원제도 (0) | 2024.08.28 |
난청인이 받을 수 있는 정부 혜택을 알고 계시나요 (0) | 2024.08.27 |